2020. 8. 17. 13:22ㆍ심리
로뮤토피아는 인간의 특별한 심리, 콤플렉스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여러분은 어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는가?
"나는 키가 작아."
"나는 머리가 나빠."
"나는 뚱뚱해."
우리는 흔히 부정적인 것을 콤플렉스라고 생각한다. 착한 사람 콤플렉스, 신데렐라 콤플렉스, 성 콤플렉스, 외모 콤플렉스, 맏딸 맏아들 콤플렉스, 슈퍼맨 슈퍼우먼 콤플렉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일렉트라 콤플렉스, 메데이아 콤플렉스, 열등감 콤플렉스 등이 있다.
우리는 종종 ‘그게 내 콤플렉스야’라고 말하지만 정작 콤플렉스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콤플렉스는 우리 마음 속에 존재하는 복잡한 생각과 감정을 의미한다. 우리는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통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콤플렉스는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통해 무엇을 만들 것인가가 중요하다."
김형석
콤플렉스는 1898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 치엔이 처음으로 사용했으며 심리학자 융이 이 개념을 받아들여 발전시켰다. 프로이트도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종종 사용했다.
융은 한때 브로일러와 함께 같은 병원에서 일했다. 융은 환자들에게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했고, 그 결과 그들의 마음 속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생각과 감정의 덩어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는 이 연구결과를 프로이트에게 보냈고 이를 계기로 프로이트와 가까워졌다. 그리고 심리학자 아들러도 이에 영향을 받아 열등감 콤플렉스의 이론을 정립했다. 열등감 콤플렉스는 부정적으로 들리지만 아들러가 제시한 열등감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우리는 열등감의 인식과 극복을 통해 더 나은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콤플렉스가 없는 사람은 없다. 단지 보이지 않을 뿐이다. 적어도 지구인의 95%가 열등감을 느끼며 살고 있다."
맥스웰 말츠
독일어의 'komplex'는 '복잡한'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영어로는 'complex'이다. 이는 복합적인 물체, 여러 개의 건물들이 모여있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심리학적으로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우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복잡한 감정과 생각의 덩어리를 의미한다.
‘어떤 집단이 열등하다’, ‘어떠한 행동은 열등한 것이다’ 등은 사회화 과정을 통해 주입된 것이다. 주입을 통해 습성은 강화된다. 그리고 이러한 것에 얽매이다 보면 진짜 열등한 사람인 것처럼 생각하게 된다. 콤플렉스란 어떤 일정한 부분에 대한 강한 집착으로 인간을 사로잡는다. 그 결과 인간의 성격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콤플렉스는 얼마나 자신을 개방적이고 유연한 태도로 대하고 관리해 나가느냐에 따라 독이 될 수도 있고, 악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콤플렉스를 소외시키기 않겠다는 결심이 필요하다. 그 친구가 나에게 상처를 준다고 해도 진정한 친구로 받아들이겠다는 애정어린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정승아
우리가 콤플렉스에 사로잡히는 이유는 콤플렉스는 칭찬이나 보상이 따르는 매력의 대상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답다', '~하다' 등의 칭찬은 콤플렉스와 관련된 행동을 강화시킨다. 그런 과정을 통해 우리는 사회가 만든 허상에 길들여진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예외가 없다. 예를 들어 '착한 사람 콤플렉스‘가 그러하다. 선한 가치는 좋은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어떤 행위가 선한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지 인간 전체를 통합하여 '착하다'고 규정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인간이 '착한 사람 콤플렉스'에 사로잡히는 이유는 그것이 주는 사회적 보상 때문이다. 착한 사람은 더 나은 평가를 받을 것 같고, 더 나은 삶을 살 것 같고, 사회적으로도 잘 받아들여질 것 같은 생각이 든다. 그래서 우리는 착하다는 관념에 지배당한다. '참는 자에게 복이 온다', '참는 것이 미덕이다' 등과 같은 말은 착함을 강요한다. 착하다는 말을 듣고 싶어서 때로는 보수도 없는 일을 하고, 부당한 일을 받아들인다. 그 결과 우리는 무거운 짐을 지고, 분노와 절망에 욕구불만이 쌓여간다.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상황도 환경도 아니었다. 나도 모르게 왜곡된 내 안의 열등감, 콤플렉스였다."
이영자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는 긍정적인 방법으로 자기주장을 하는 것이다. 내게도 손해가 없고, 상대방에게도 손해를 끼치지 않는 '윈-윈'의 상황을 만들어내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것을 자기주장성 훈련이라고 한다.
자기주장성이란 적절한 방법으로 내가 원하는 것을 요청하는 동안 감정과 사고를 표현하는 과정이다. 즉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다. 우리는 이러한 훈련을 통해 우리의 근심상황을 생산적으로 다루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 감정을 표현하고, 호의를 요청하고, 칭찬을 주고받고, 행동의 변화를 요청하고, 납득할 수 없는 요청을 거절하는 방법을 배운다.
건강한 사람들은 착한 사람 콤플렉스에 사로잡히는 대신 다른 이들의 정당성을 침해하지 않고 자신의 정당성을 주장하고자 자기주장적인 행동을 한다. 우리는 착한 사람이라는 관념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도 친숙하고, 정직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 그러면 우리의 삶이 훨씬 수월해진다. 그리고 행복해진다.
"태어날 때부터 열등한 인간도 없고, 태어날 때부터 우수하고 고상한 인간도 없다. 태어난 다음 어떤 행동을 하는가에 따라 만사가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인간은 스스로 자기를 열등하게 만들고 고상하게도 만든다."
석가모니
로뮤토피아의 콤플렉스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로뮤의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참고>
강현식, 꼭 알고 싶은 심리학의 모든 것
'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움받을 용기 (0) | 2020.08.24 |
---|---|
거울아 누가 제일 예쁘니 (0) | 2020.08.18 |
우리는 왜 화를 내는가 (0) | 2020.08.11 |
엄마가 아기를 왼쪽 가슴에 안는 이유 (0) | 2020.08.06 |
사랑에 빠지는 특별한 법칙, 매력 (0) | 2020.07.28 |